오늘은, 2025년 2월 28일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개봉될 영화 ‘미키 17’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개인적으로 봉준호 감독의 작품을 모두 챙겨볼 정도로 팬인지라, 이번 신작에 대한 기대가 상당히 컸는데요. 소설 *‘미키 7’*을 원작으로 얼음 행성 ‘니플하임’이라는 낯선 무대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기존 한국 영화에서는 보기 드문 SF 다크 코미디 장르를 어떻게 풀어낼지 무척 궁금합니다.
줄거리와 배경
극 중 주인공 미키 반스(로버트 패틴슨 분)는 지구를 떠나 니플하임이라는 얼음 행성에서 식민지 개척 임무를 수행하는 인물로, ‘소모품’이라 불릴 만큼 극도로 위험한 작업에 투입됩니다. 죽으면 새로운 육체로 재생되기에, 어느 순간부터 미키의 죽음은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죠. 하지만 17번째 임무에서 사망한 줄 알았던 미키가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오고, 이미 재생된 ‘미키 18’과 동시에 존재하게 되면서 식민지 사회의 균형이 미묘하게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얼핏 보면 액션과 스릴러 요소가 강한 듯하지만, 사실 이 설정을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주요 등장인물과 캐릭터 분석
- 미키 반스: 로버트 패틴슨이 연기하는 핵심 캐릭터로, 17번째 미키와 18번째 미키가 서로 다른 성향을 지닌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한쪽은 순진하고 어리숙한 반면, 다른 쪽은 저돌적인 반항아 이미지라, 패틴슨 특유의 섬세한 연기 스펙트럼이 돋보여요.
- 나샤 아자야(나오미 애키): 행성의 정예 요원이자 미키의 연인으로, 그의 잦은 죽음조차 인간적으로 대하며 사랑을 잃지 않는 강단을 보여줍니다.
- 티모(스티븐 연): 우주선 파일럿이자 미키의 친구로, 죽음을 대수롭지 않게 농담으로 넘기지만, 그 내면엔 진한 우정이 숨겨져 있죠.
- 케네스 마셜 & 일파 마셜(마크 러팔로, 토니 콜렛): 니플하임의 독재적 권력을 쥐고 있는 부부로, 미키가 재생될 때마다 허락을 내리는 인물들입니다. 식민지인들의 운명까지 좌우할 수 있기에, 이들이 주는 긴장감이 상당합니다.
영화의 주요 테마와 메시지
‘미키 17’은 그저 복제 인간이라는 설정만 있는 SF가 아니라, 반복되는 죽음 속에서 인간에게 ‘존재’란 어떤 의미인지 깊이 질문을 던집니다. 미키가 여러 차례 죽음을 겪으면서도 자신을 잃지 않으려 애쓰는 모습은, “내가 누군가”라는 본질적 고민을 하게 만들죠. 더불어 식민지 내부의 권력 구조와 불평등을 은유적으로 그려내며,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한다는 점도 흥미로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미키와 친구들이 주고받는 농담 속에서도, 생사의 경계가 흐릿해진 현실이 얼마나 잔혹할 수 있는지를 실감했습니다.
봉준호 감독의 여덟 번째 장편인 ‘미키 17’은 독특한 설정과 깊이 있는 메시지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충격을 선사합니다. 로버트 패틴슨을 비롯해 나오미 애키, 스티븐 연, 마크 러팔로, 토니 콜렛 등 해외 스타들의 조합도 이질감 없이 조화를 이뤘고, 얼음 행성이라는 상상 속 무대가 생각보다 설득력 있게 구현된 점 역시 인상적이었습니다.
무엇보다 “복제 인간이 반복적으로 죽음과 재생을 겪는다면, 그 ‘인간다움’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걸까?”라는 철학적 질문을 놓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기존 SF와는 또 다른 지점을 보여줍니다. 만약 독창적인 세계관과 묵직한 주제를 좋아하신다면, ‘미키 17’이 선사하는 신선한 충격을 꼭 극장에서 경험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본 포스팅는 공개된 정보와 개인적 감상과 경험으로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모든 사진의 출처는 CGV 입니다.